ROM(ROM-Read-only memory)은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로,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(CPU)에서 읽기만 가능하고 쓰기는 불가능한 형태의 메모리입니다. 즉, ROM에 저장된 데이터는 변경이나 삭제가 불가능하여 비휘발성 메모리로 분류됩니다.
✔️ROM(Read-only memory)
ROM은 주로 펌웨어나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 시스템(BIOS)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. 펌웨어는 장치의 ROM에 영구적으로 기록되어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저수준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의 일종입니다. BIOS는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초기화하고 점검하는 역할을 합니다.
✔️ROM 종류
ROM의 종류로는 마스크 ROM, 프로그래머블 ROM(PROM), 지우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ROM(EPROM), 전기적으로 지우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ROM(EEPROM) 등이 있습니다. 이러한 ROM은 스마트폰, 태블릿, 게임 콘솔과 같은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는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활용됩니다.
✔️ROM 특성
- Mask ROM: 특정 데이터 패턴으로 제조된 ROM으로,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프로그래밍됩니다. 일단 프로그래밍이 완료되면 데이터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.
-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(PROM): 제조 후 사용자가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ROM입니다. PROM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해서는 PROM 프로그래머라는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여 전하를 가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 한번 프로그래밍되면 데이터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.
- EPROM(Erasable Programmable ROM): 여러 번 지우고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ROM입니다. EPROM의 데이터를 지우려면 자외선에 일정 시간 노출해야 하며, 이후 다시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.
- EEPROM(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)
- 외선 없이 전기적으로 지우고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 EPROM보다 사용이 간편합니다. EEPROM은 USB 플래시 드라이브나 메모리 카드와 같은 장치에 주로 사용됩니다.
✔️플래시 메모리
플래시 메모리는 블록 단위로 지우고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EEPROM의 일종으로, 스마트폰, 태블릿, SSD(Solid-State Drive)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.
각 종류의 ROM은 고유한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으며, 어떤 유형을 선택할지는 특정 장치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. ROM은 일반적으로 수정이나 삭제가 불가능하지만, 다른 ROM 칩으로 교체하거나 특수 장비를 통해 덮어쓸 수 있습니다. 이 과정은 펌웨어나 BIOS를 ROM 칩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전자 기기 제조에 자주 활용됩니다.
'반도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라즈마(Plasma)원리와 활용 (0) | 2024.09.03 |
---|---|
SoC(System on a Chip) 개요 (0) | 2024.09.03 |
3D 낸드 플래시 동작원리 구조 (0) | 2024.09.03 |
전력 반도체 원리와 사용 분야 (3) | 2024.09.03 |
MMC에서 eMMC 변화와 차이점 (0) | 2024.09.03 |